Unreal

[Unreal] 7월 2일 수업정리

k-codestudy 2025. 7. 2. 14:39

머테리얼에 대한 수업을 들었다.

 

머티리얼

머티리얼 생성
베이스 컬러 - constantVector 2,3,4 중 하나를 연결해서 색을 조정

 

  • 베이스 컬러 : 머테리얼의 전반적인 색을 결정
  • 메탈릭 : 표면이 얼마나 금속같은지를 결정
  • 스페큘러 : 표면에 빛을 얼마나 모아주는지 ( 낮아질수록 무광, 높아질수록 빛남 ) 
  • 러프니스 : 표면이 얼마나 거친지를 결정
  • 애니소트로피 : 스페큘러아 탄젠트 방향으로 얼마나 늘어날지 결정 ( 이거는 봐야 이해 가능 )
  • 이미시브 컬러 : 어느 부분에서 빛이 나는지 제어

택스처 & 노멀 택스처

택스처 (_D) 를 베이스 컬러 / 택스처(_N)을 노멀에 연결 ( 노멀은 쉐딩을 이용하여 입체감을 줌 )
실행

이미시브 컬러

Vector3를 연결 후 곱셈 후 연결
실행 결과

  • 원래는 이미시브 컬러는 광원이 아니다.
  • 광원이란 다른 사물의 명암에 영향을 끼치는 것인데, 기본적으로 이미시브 컬러는 네온사인같은 느낌이다. 하지만 언리얼 에서는 어느 특정 값 이상으로 넘어가면 광원취급을 하기에 기억해두자

 

머테리얼 인스턴스

베이스 컬러 - 백터 파라미터 (Color) / 이미시브 컬러 - 스칼라 파라미터 (Emissive)
원하는 머티리얼 우클릭 -> 머티리얼 인스턴스 생성
생성직 후 모습
우측 상단에 값을 조정을 할수 있음
실행

  • 머티리얼 : 연산 작업하는 공간
  • 머티리얼 인스턴스 : 간단하게 값만 조정하여 원하는 색감을 변경 

 

응용 

의자가 사용중인 머티리얼 기준으로 머티리얼 인스턴스 생성
시트 부분의 색을 변경
실행 결과

 

머티리얼 다이나믹 인스턴스

일반적인 인스턴스의 경우 인스턴스를 적용한 대상이면 전부 바뀌게 된다.

하지만 하나만 바꾸고 싶을 경우 다이나믹 인스턴스를 사용하면 된다.

 

의자 엑터 생성, 머티리얼은 chair_inst로 설정 ( 나머지 설정은 알잘딱 )
construction : create Dynamic Material Instane - 변수 승격 ( M-dynamic MT) - set Meterial (static Mesh) / 주의점 : 내가 바꾸고 싶은 머티리얼의 인덱스를 보고 사용할 것
Overlap(Sphere) : Linear Color Random Hue (랜덤 값) - 변수 승격 - set Vector Parameter Value (M-dynamic MT)
실행 - 실행해보면 똑같은 인스턴스지만 다이나믹 인스턴스만 색이 바뀐것을 확인

'Unre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real] 7월 4일 수업정리  (0) 2025.07.03
[Unreal] 7월 3일 수업정리  (0) 2025.07.03
[Unreal] 7월 1일 수업정리  (5) 2025.07.01
[Unreal] 6월 30일 수업정리  (0) 2025.06.30
[Unreal] 6월 27일 수업정리  (0) 2025.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