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real

[Unreal] 5월 12일 수업정리

k-codestudy 2025. 5. 12. 17:46

오늘은 프로젝타일 무브먼트에 대한 수업을 들었다.

 

프로젝타일 무브먼트

편집 - 프로젝트 세팅 - 콜리전 - 오브젝트 채널 : projectile 생성 ( 무시 ) - 프리셋에서 projectile 설정 후 저장
BP_ThirdPerson에서 CameraBoom에서 카메라 길이와 소켓 오프셋 값 설정
캐릭터 무브먼트 - use Controller Desired Rotation on, Orient Rotaion to Movement Off
Scene 컴포넌트 추가 ( 발사가 되는 곳 )
엑터 bp-projectile 생성 - Sphere Collision 추가 후 루트로 변경 - static mesh 추가 후 매시 변경
projectile Movement 추가 - 발사체에서 2개의 Speed값 설정
왼쪽 마우스 클릭시 Spawn Actor를 이용하여 bp-projectile 스폰 ( 위치는 Scene의 월드 위치값, 회전값은 카메라의 월드 회전값 )
실행
피직스 엑터도 projectile 블록으로 설정
블록으로 설정을 안할 시
블록으로 설정 시
랜드 스케이프를 만들어서 땅에서 잘 적용 되는지 확인
땅에 닿으면 바운스를 줄수 있음 ( 나중에 쓸 일이 있으면 해보자 )
발사체에서 중력을 설정할 수 있음 ( 0이면 중력을 아예 받지 않음 )
Sphere가 Hit시 Actor 삭제, End Play 시 hello 출력
실행
Sphere 히트 시 Spawn Emilter at Location 호출 - 위치는 Hit의 Impact Point - 폭발 이펙트 설정 - Destroy Actor 연결
실행
엑터에서 생명 주기 설정 ( initial Life Span : 10 / 10초 후에 생명 주기가 다하기에 충돌하지 않아도 사라짐 )
Sphere의 Hit에 Impact Point 변수 승격 - Hit라는 Bool형 변수 생성 후 연결 - Destory Actor 호출 / end Play - e-Destroy 호출 / e-Destroy 시 Spawn Emilter at Location을 이용하여 이펙트 호출 - 위치는 Hit의 참 거짓으로 True일시 Impact Point의 위치, False일시 Get Actor Location을 이용하여 Actor의 위치값을 얻어옴
실행 결과 ( 닿지 않아도 사라지면서 이펙트가 나오는것을 확인 할 수 있음 )

'Unre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real] 5월 14일 수업정리  (0) 2025.05.14
[Unreal] 5월 13일 수업정리  (0) 2025.05.13
[Unreal] 5월 9일 수업정리  (0) 2025.05.09
[Unreal] 5월 2일 수업정리  (0) 2025.05.05
[Unreal] 5월 1일 수업정리  (0) 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