램프와 버튼을 만들어 버튼을 이용하여 램프 on / off
직접 통신 방식
핵심
- 서로 간의 관계를 알려줘야 한다.
- 마지막 사진을 보게 되면 bp-lamp의 포인터를 얻어오는 과정 (배치된 것의 포인터를 따오는 것은 굉장히 쉽다)
문제점
- 해당 버튼은 설정이 된 램프밖에 사용할 수밖에 없음
다른 방법으로 여러 개의 기능을 가지고 있게 하고 싶으면 이벤트 디스패처를 이용하여 만들면 된다.
위의 과정은 직접통신을 이용한 것으로 버튼이 물건을 알게 한 것이지만 이벤트 디스패처를 이용하여 물건이 버튼을 알도록 만들어 보겠다.
이벤트 디스패처 방식
- 연결 시점은 시작 시점과 동시에 해주면 되고, 이렇게 하게 되면 버튼 하나로 2개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위의 방식과 똑같이 폭탄을 만들어 보았다.
- spawn emitter at location ( 케스 케이드 부르는 함수 )
- spawn system at location ( 나이아가라 부르는 함수 )
알아야 하는 게 하나 더 있는데 저기 destory를 하게 되면 널 포인터를 참조하게 되는데 그럼 버튼을 누르게 되면 오류 널 포인터를 참조하였기에 오류가 나야 하지만 나지 않는다. 언리얼에서 자동으로 지워주기 때문이다.
'Unre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real] 4월 7일 수업정리 (0) | 2025.04.07 |
---|---|
[Unreal] 4월 4일 수업정리 (0) | 2025.04.04 |
[Unreal] 4월 2일 수업정리 (0) | 2025.04.02 |
[Unreal] 4월 1일 수업정리 (0) | 2025.04.01 |
[Unreal] 3월 31일 수업정리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