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리소스 관리법에 대한 수업을 들었다.
리소스 정리 및 관리 방법
리소스 정리의 중요성
- 프로젝트 내에서 리소스를 체계적으로 정리해야 나중에 관리하기 편해짐
- 삭제할 경우 프로젝트 폴더에서 직접 삭제해야 완전히 제거됨
- 삭제할 경우 남아있는 파일과 일치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해 파일이 안 열릴 수도 있음
- 그렇기에 미리 정리하면서 작업하는 습관이 중요함
프로젝트를 활용한 리소스 관리
별도의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관리
- 프로젝트 내부의 Contents 폴더에만 리소스를 저장해야 함
- 다른 경로에 저장하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
- 개별 파일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파일을 선택하여 이동 가능
- 폴더 단위로 이동해도 무방함
리소스 이동 방법
- 이동할 리소스를 선택 후 우클릭
- 에셋 액션 → 이주 선택
- 이동할 위치를 선택 후 확인
- 반드시 이동할 폴더의 Contents 내부로 지정해야 함
별도의 리소스 관리 폴더 생성
- 프로젝트 내에서 Resource(이름은 자유) 폴더를 만들어 관리
- 무분별한 파일 생성 방지를 위해 체계적으로 정리해야 함
여러 개의 에셋을 병합하는 방법
액터 병합 방식
- 여러 개의 에셋을 하나의 메쉬로 통합 가능
- 액터 → 액터 병합 → 병합 후 이주
- 이렇게 하면 새로운 메쉬가 생성됨
- 위 사진과 같이 하나의 매쉬로 통합되어 재사용이 용이하며, 배치 시 편리함
화면 밝기 조절 방법
- 창 → 환경 라이트 믹서로 이동
- 민감도 조정하여 밝기 조절 가능
랜드스케이프 (Landscape)
섹션 크기 및 규격
- 7x7 등으로 설정됨
- 2의 배수가 아닌 이유: 쿼드트리(QuadTree)와 옥트리(Octree)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
- 일반적으로 2^n -1 또는 2^n +1 형태로 규격화됨
킬 Z(Kill Z) 설정
- 창 → 월드 세팅 → Kill Z 기능 존재
- 설정한 Z값 이하로 떨어진 액터는 자동으로 삭제됨
랜드스케이프 관리 기능
땅 생성 및 관리 기능
임포트
- 외부 하이트맵(Height Map) 가져오기 가능
- 직접 제작할 일이 적을 수 있으므로 필요 시 참고
스컬프팅 (Sculpting)
- 좌클릭 + 드래그 → 땅을 올림
- Shift + 좌클릭 + 드래그 → 땅을 깎음
- 조절 편차가 크므로 신중하게 조작 필요
크기 확인 방법
- 화면에서 우클릭 후 플레이 기능 사용하여 확인
피벗 포인트 수정 방법
피벗 포인트가 잘못된 경우
예시
- 칼의 피벗이 손잡이가 아닌 중간에 있는 경우
- 문의 피벗이 회전축이 아닌 엉뚱한 위치에 있는 경우
피벗 수정 방법
- 모델링 → 모델링 모드 → XForm → Edit Pivot 선택
- 원하는 위치로 피벗 이동 후 저장
복셀(Voxel) 개념
픽셀과 복셀의 차이
픽셀 (Pixel)
- 2D 이미지에서 한 점을 의미함
- 화면을 이루는 최소 단위
복셀 (Voxel)
- 3D 환경에서 한 점을 의미함
- 기준점을 픽셀 단위로 설정하여 3D 그래픽을 구성함
복셀의 활용
- 3D 환경에서 지형, 물체 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됨
- 마인크래프트 등의 게임에서 복셀 기반 환경 구현
'Unre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real] 3월 24일 수업정리 (0) | 2025.03.24 |
---|---|
[Unreal] 3월 21일 수업정리 (0) | 2025.03.21 |
[Unreal] 3월 19일 수업정리 (0) | 2025.03.19 |
[Unreal] 3월 18일 수업정리 (0) | 2025.03.18 |
[Unreal] 3월 17일 수업정리 (1)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