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real

[Unreal] 5월 13일 수업정리

k-codestudy 2025. 5. 13. 13:46

오늘은 호밍에 대한 수업을 들었다.

 

호밍

카메라 거리, 소켓 오프셋 값 설정
실행
엑터 bp-Projectile 생성 - Sphere Collision 추가 후 루트로 변경 - Static Mesh 추가 후 Mesh 설정 - Projectile Movement 추가 후 속도, 중력 설정 ( 콜리전 프리셋은 전에 했던것과 동일, 중력은 0으로 호밍은 중력이 존재해서는 안됨 )
왼쪽 마우스 클릭 시 SpawnActor로 bp-projectile spawn - 위치는 Scene의 Get Wolrd Location, 회전은 Camera의 Get Wolrd Rotaion
실행
Sight라는 Sphere Collision 생성 후 콜리전 세팅, 크기 설정
실행
엑터 Target 생성 - Static Mesh와 Sphere 추가
호밍 관련된 디테일 패널 / is Homing Projecilte은 호밍 On, Off / Homing Acceleration Magnitic : 높으면 높을수록 적중률이 올라감
타겟에 Scene 추가 ( 호밍에 엑터를 붙힐 수는 없음 그렇기에 Scene의 값을 얻어와서 연결 해줄거 )
인터페이스 i-Homing 생성 - 함수 getHomingTarget 생성 - 출력 : scene의 오브젝트 레퍼런스 선언
Target의 클래스 세팅에 가서 구현된 인터페이스 클릭 후 아까 만든 i-Homing이라는 인터페이스 추가
인테페이스 더블 클릭 후 들어가 Scene 연결
IntertoMovement 추가 - 인덱스를 이용하여 좌우로 움직이게 설정
Sphere (sight) 에 오버랩 시 i-Homing인지 판단 - Do once로 한번만 실행 - is Homing projecilte을 On - Get Homing Target 으로 타겟 얻어온 후 Homing Target Component에 연결 하여 타겟을 알려줌
히트 시 이펙트 호출 후 삭제
실행
각도 값(내적)을 이용하여 일정범위 이상 거리가 벌어지게 되면 타겟을 잃고 다시 직선으로 날아가게하는 부분 (정규화를 이용하여 만듬 )
실행